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시사마인드맵] 💰 왜 순금을 24K라 부를까?

by 아카이브맵 2025. 3. 6.
반응형

💰 왜 순금을 24K라 부를까?


🔤 K는 무슨 뜻일까?

‘K’는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캐럿(Karat)의 머리글자다.
이 용어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금 순도의 기준이다.


🌱 ‘캐럿’의 유래

‘캐럿(Karat)’이라는 단어는 캐럽나무(Carob tree)의 열매에서 유래했다.
캐럽나무는 콩과 식물로, 중동 지역을 비롯한 따뜻한 기후에서 자란다.

과거 중동 지역에서는 금이나 소금을 거래할 때 말린 캐럽 열매를 저울 대신 사용했다.
이유는 다음과 같다.

  • 캐럽 열매는 크기와 무게가 일정하여 측정 단위로 사용되었다.
  • 성인의 손으로 한 줌을 쥐면 보통 24개 정도가 잡혔으며,
    이 ‘한 손에 쥔 정도’를 기준으로 삼아 금의 순도를 표시하게 되었다.

🏅 금의 순도 표시 방법

현재 금의 순도는 24K(캐럿) 기준으로 나눈다.

  • 24K = 순금 100%
  • 18K = 24분의 18, 즉 금 함량 75%
    • 14K 제품보다 20% 정도 더 무겁다 (같은 부피 기준)
  • 14K = 24분의 14, 즉 금 함량 58%

순도가 낮아질수록 다른 금속이 섞여 있어 강도가 높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진다.


💸 24K, 18K, 14K 가격 차이

2025년 3월 한국금거래소(KRX) 금 소매 기준가 (부가세 별도)

  • 24K → 약 59만 원대
  • 18K → 약 49만 원대
  • 14K → 약 38만 원대

금값이 상승할 경우 각 캐럿별 가격도 비례하여 변동한다.


📌 1분 요약 영상

 

 

#24K #순금 #캐럿유래 #금가격 #18K #14K #금거래

반응형